AWS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 장점

2022. 7. 8. 21:32
728x90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컴퓨팅 파워(그냥 컴퓨터라고 생각하면 됨), 데이터베이스, 저장소, 애플리케이션 및 기타 IT 리소스를 온디맨드로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

 

여기서 온디맨드란? 내가 필요할때만 사용하는 것

 

기존 컴퓨팅 모델은 하드웨어형 인프라로, 서버를 둘 공간, 관리, 직원 등의 지출이 필요하다. 이론적으로 최대 사용량을 추정하여 용량을 프로비저닝해야한다.

 

프로비저닝?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시스템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미리 준비해두는 것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은 소프트웨어로서의 인프라로,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하고 프로비저닝하고 사용에 따라 종료할 수도 있다. 사용한만큼 지불하면 된다

 

IaaS(서비스형 인프라) PaaS(서비스형 플랫폼)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 클라우드 정보 기술의 기본 빌딩 블록으로, 네트워크 기능, 가상이나 전용 컴퓨터에 대한 액세스 제공, 스토리지 공간 제공
-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실행되고 관리되는 완전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
- 최종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지칭
- 서비스를 유지 관리하는 방법이나 기본 인프라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할 필요X, 특정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사용할지만 생각하면 됨
ex) 서버와 이메일 제품 관리, 이메일 시스템의 운영체제를 유지 관리할 필요 없이 이메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는 웹 기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가 기반 인프라(하드웨어, 운영체제 등)를 관리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관리에만 전적으로 집중할 수 있음
- 리소스 조달, 용량, 소프트웨어 유지 관리나 패치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클라우드 컴퓨팅 배포 모델

1. 클라우드 구현 모델 :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부분이 클라우드에서 실행됨. 낮은 수준의 인프라에 구축하거나 주요 인프라를 관리, 설계 및 확장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점을 실현할 수 있음

2. 하이브리드 구현 모델 : 기존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기반 리소스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배포된다. 즉, 클라우드에 존재하지 않고 물리적인 환경에 존재.

3. 온프레미스(프라이빗 클라우드) 모델 : 가상화 및 리소스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온프레미스에 리소스를 배포하는 것.

 

클라우드 컴퓨팅 장점

1. 자본 비용을 가변 비용으로 대체

- 예측을 근거로 한 데이터 센터에 투자로 사용한 양에 대해서만 지불한다 -> 비용을 줄일 수 있다

2. 규모의 경제로 얻어지는 혜택

-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인프라로 사용하는 것보다 가변 비용이 낮다. 수많은 고객의 사용량이 클라우드에 누적되어 AWS와 같은 공급자는 더 높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 사용량에 따라 지불하는 종량제 요금이 낮아진다

3. 용량 추정 불필요

- 필요한 인프라 용량을 추정할 필요가 없다. 필요한 만큼 리소스에 액세스하고, 필요에 따라 축소 및 확장이 가능하다.

4. 속도와 민첩성 향상

-클라우드 환경에서 클릭버튼 한 번만으로 새 IT 리소스 확보가 가능하다. 개발에 사용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시간이 단축되므로 조직의 민첩성이 크게 향상된다

5. 데이터 센터 운영 및 유지 관리에 비용을 투자할 필요가 없다

-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서버를 수동으로 설치하고 스태킹하고 작동하느라 시간을 허비할 필요가 없다

6. 몇 분만에 전 세계에 배포 가능

- 클릭 몇 번으로 전 세계의 여러 AWS 지역(리전)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 최소 비용으로 간단하게 더 짧은 지연 시간을 거치게 된다

 

웹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로,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상호 작용의 요청 및 응답에 대해 XML이나 JSON과 같은 표준화된 형식을 의미

대표적인 예시 : AWS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