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클라우드 보안 | 클라우드 서비스 특성별 보안

2022. 7. 11. 15:37
728x90

AWS 공동 책임 모델

- AWS는 클라우드 환경의 물리적인 사항의 보안에 대해 책임을 진다(물리적 시설과 시스템)

- 고객은 클라우드의 보안을 책임진다. 클라우드 내에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세트를 보호해야할 책임을 진다

 

고객 AWS
저장된 데이터의 암호화와 시스템 간에 전송 중인 데이터의 암호화에 대한 책임
네트워크 보안 구성 확인, 보안 자격 증명, 클라우드를 실행하는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방화벽 구성 관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킹 및 시설 등
AWS 클라우드 서비스를 실행하는 인프라를 보호할 책임

즉, AWS는 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물리적인 보안을 책임지고 보안을 위한 도구를 고객에게 제공하는데, 고객은 이 도구를 활용해서 고객의 데이터와 네트워크 환경 등을 보호해야 하며, 고객의 물리적 환경(운영체제, 방화벽 등)을 보호해야 한다.

 


AWS의 책임 : 클라우드의 보안

- 데이터 센터의 물리적 보안(필요 기반의 제어된 액세서)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스토리지 폐기, 호스트 OS 액세스 로깅 및 감사)

- 네트워크 인프라(침입 탐지)

- 가상화 인프라(인스턴스 격리)

ex) EC2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다른 고객의 컴퓨터 환경으로부터 격리된다

 

고객의 책임 : 클라우드에서의 보안

- Amazon EC2 인스턴스 운영체제(패치 적용, 유지 관리 등)

- 애플리케이션(암호, 역할 기반 액세스 등)

- 보안 그룹 구성

- OS 또는 호스트 기반 방화벽(침입 탐지 또는 차단 시스템 등)

- 네트워크 구성

- 계정 관리(각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및 권한 설정)


 

서비스 특성 및 보안 책임

  • IaaS(서비스형 인프라) : 시스템의 대부분에 대한 제어와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 물리적 시설과 데이터 센터의 물리적 서버를 관리하는 방식과 유사(Amazon EC2, Amazon Elastic Block Store(EBS), Amazon VPC)

- 고객은 네트워킹 및 스토리지 설정을 보다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음

- 보안의 더 많은 측면을 고객이 관리해야 함

- 액세스 제어를 고객이 구성

 

  • PaaS(서비스형 플랫폼) : 인프라를 사용하는 서비스(AWS Lambda, Amazon RDS(고객이 리소스 조달, 용량계획, 소프트웨어 유지 관리 또는 패치에 대해 신경쓸 필요 없이 엔드포인트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만 하면 됨), AWS Elastic Beanstalk)

- 고객이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X

-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패치 적용, 방화벽 구성 및 재해 복구를 AWS가 처리

- 고객은 코드 또는 데이터 관리에 집중

 

  •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 즉시 사용 가능한 완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소프트웨어가 중앙에서 호스팅되므로 고객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가 없음(AWS Trusted Advisor, AWS Shield, Amazon Chime)

- 소프트웨어가 중앙에서 호스팅 됨.

- 구독 모델 또는 종량 과금제로 라이선스 부과

-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 모바일 앱 또는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에 액세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