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

Amazon S3가 뭐였더라

728x90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Amazon S3)

: 객체 수준 스토리지

귀엽다

파일 일부를 변경하려면 파일을 변경한 다음 변경된 파일 전체를 다시 업로드 해야한다

Amazon S3는 버킷이라고 하는 리소스 내 객체 단위로 저장한다

- 버킷에 원하는 만큼의 객체 저장 가능(객체 크기는 최대 5TB)

- 버킷에서 객체를 쓰고, 읽고, 삭제가 가능

- 버킷에는 보편적이고 고유한 이름이 사용됨

- IAM을 사용해 버킷에 접근 가능한 사용자를 제어할 수 있음

- 객체 업로드나 삭제 등 특정 이벤트 알림 기능 설정 가능

 

객체: 이미지, 영상, 서버로그 등 거의 모든 데이터 파일이 될 수 있음

s3아이콘이 제일 귀여움

 

스토리지 클래스

https://medium.com/@suryateja233/s3-storage-classes-4cc65b5f55c4

Standard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
짧은 지연 시간 및 높은 처리량 제공 -> ex) 콘텐츠 배포 및 빅데잍터 분석
Intelligent-Tiering
데이터를 자동으로 이동하여 비용을 최적화
연속 30일 동안 액세스하지 않은 객체를 Infrequent-Access 계층으로 알아서 이동시킴
수명이 길고 액세스 패턴을 알 수 없거나 예측할 수 없는 데이터에 적합
Standard-Infrequent Access
액세스 빈도가 낮지만 필요할 때 빠르게 액세스 해야하는 데이터
Standard와 마찬가지로 높은 처리량 및 짧은 지연 시간을 저렴한 요금으로 제공되도록 설계됨
ex) 장기 스토리지, 백업, 재해 복구 파일용 데이터 스토어
One Zone
액세스 빈도가 낮지만 필요할 때 빠르게 액세스 해야하는 데이터
단일 가용 영역에 데이터를 저장
Standard-Infrequent Access보다 비용 저렴
가용성과 복원력이 필요없는 경우 사용
ex) 보조 백업 사본 저장, 이미지 카탈로그 썸네일 버전과 같은 쉽게 재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
Glacier
데이터 아카이빙을 위한 안전하고 내구력 있는 저렴한 스토리지 클래스
Glascier Deep Archive
비용이 가장 저렴
일년에 한두번 액세스되는 데이터의 장기 보존 및 디지털 보존 지원
ex) 금융 서비스, 의료 서비스, 공공 부문 등 규제 준수 때문에 오랫동안 데이터를 보존해야하는 경우

 

 

버킷

: 객체를 위한 논리적 컨테이너

- 버킷 접근 사용자 제어 가능

- 버킷은 하나 이상일 수 있음

- S3가 버킷과 버킷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지리적 리전 선택 가능

 

1. 경로 스타일 URL 엔드포인트 : 객체에 액세스해야 할 때 사용. 정적 데이터에 대한 웹사이트로 사용할 때

https://s3.ap-northeast-1.amazonaws.com/bucket-name

                 리전코드                                      버킷이름

2. 가상 호스팅 스타일 URL 엔드포인트

https://bucket-name.s3-ap-northeast-1.amazonaws.com

           버킷이름              리전코드

 

데이터가 리전에 중복으로 저장됨

- s3 버킷을 생성할 때 해당 버킷은 특정 AWS 리전에 연결됨

- 버킷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해당 데이터는 선택한 리전의 여러 AWS 시설에 중복 저장됨 -> 2개의 AWS 시설에서 동시에 데이터가 손실되더라도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관됨

 

S3는 버킷의 스토리지를 자동으로 관리, 스토리지나 처리량을 프로비저닝 할 필요X, 사용한만큼 요금이 부과됨

월별 GB, 다른 리전으로 송신하고 PUT, COPY, POST, LIST 및 GET 요청을 비롯하여 사용한 항목에 대해서만 요금이 부과됨

S3로 수신하거나 같은 리전의 CloudFront나 EC2로 송신한 경우에는 요금이 부과되지 않음

버킷이름은 모두 소문자여야하고 문자, 숫자, 대시의 조합만 가능

 

비용 추정 시 고려 사항

1. 스토리지 클래스마다 요금이 다름

2. 버킷에 저장된 객체의 수와 크기에 따라 요금이 달라짐

3. 요청 수와 요청 요형(GET(객체 검색-읽기 권한), PUT(버킷에 객체추가-쓰기권한), COPY(객체의 복사본 생성-읽기/쓰기 권한)에 따라 다름

4. S3리전에서 전송된 데이터 양에 따라 부과됨(데이터 수신은 무료)

728x90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S3 Glacier  (0) 2022.07.13
AWS EFS가 뭔데  (0) 2022.07.13
[실습] AWS VPC 생성하기  (0) 2022.07.12
Amazon EBS? 웬 EBS?  (0) 2022.07.12
Amazon CloudFront란?  (0) 202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