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AWS

(62)
AWS Well-Architected 프레임워크 아키텍처란? 큰 구조물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예술이자 과학 대규모 시스템의 아키텍트는 시스템의 규모와 복잡성을 관리해야 한다 Q. 아키텍처와 아키텍트의 차이? A. 아키텍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 아키텍트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 그렇다면 클라우드 아키텍트는 어떤 일을 할까용? 클라우드 아키텍트는 의사 결정권자와 협력하여 비즈니스 목표와 개선이 필요한 기능을 식별함 솔루션의 기술 결과물이 비즈니스 목표와 일치하는지 확인함 기술의 기능이 적절한지 확인 AWS Well-Architected 프레임워크 :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및 워크로드를 위한 최고 수준의 보안, 고성능, 복원력 및 효율성을 갖춘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는 안내서!!이다 -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평가하고 구현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본적인..
AWS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Amazon Aurora Amazon Aurora : 클라우드용으로 구축된 MySQL, PostgreSQL과 호환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고성능 사용 데이터베이스 속도와 가용성에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의 간편함과 비용 효율성을 결합함 ○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 비용 절감, 안정성과 가용성 개선 가능 ○ 프로비저닝 패치 적용, 백업, 복구, 장애 탐지, 복원 등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을 자동화함 ○ 고가용성을 제공 ○ 고속의 분산 스토리지 하위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축 -> 대규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세트에 적합 ○ 설정이 간편, 표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지원 ○ MySQL,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엔진과 즉시 호환, 변경하지 않고도 기존 데이터베이스 도구를 사용할 수 있음 ○ 종량..
Amazon Redshift Amazon Redshift : 표준 SQL과 기존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도구를 사용하여 모든 데이터를 간편하고 비용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완전관리형의 고속 데이터 웨어하우스(창고?) 분석!은 오늘날 비즈니스에 중요한 부분,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구축하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설정하는데 몇 달이 걸리고 상당한 금전적 리소스가 소요됨 -> Amazon Redshift는 단순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설정하고 사용할 수 있는 빠르고 강력한 완전 관리형 데이터 웨어하우스 -> 확장과 축소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다 Q. 데이터 웨어하우스가 뭐고, 왜 필요해? A.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분석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는 중앙 저장소 대규모 데이터 분석작업을 처리하는데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vs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Amazon DynamoDB DynamoDB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전환할 수 있대! 관계형(SQL) 비관계형(NoSQL) 데이터 스토리지 행과 열 키-값, 문서(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을 사용), 그래프 스키마 고정 동적 쿼리 실행 SQL 사용 문서 수집에 집중 확장성 수직적 수평적(대규모 데이터세트에 적합)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반정형, 비정형 데이터의 요구 사항을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한계 극복 Amazon DynamoDB : 규모와 관계없이 10mm/s 미만의 지연시간이 요구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빠르고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테이블을 생성한 다음 테이블에 항목 추가.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할한 후, 데이터 세트에 최적화된..
AWS에서 쓰는 데이터베이스 : Amazon RDS AWS의 비관리형 관리형 서비스 비교 비관리형 : 사용자가 확장, 내결함성 및 가용성을 관리,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개별적으로 프로비저닝됨 -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모든 부분을 제어하고 싶다면 EC2 인스턴스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설치하면 됨 -> 사용자가 소유한 물리적 데이터 센터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실행하는 것과 매우 유사한 환경이 됨 관리형 : 일반적으로 확장, 내결함성 및 가용성이 서비스에 내장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문제점 - 서버 유지 관리, 에너지 소비 - 소프트웨어 설치, 패치 - 데이터베이스 백업, 고가용성 - 확장성 제한 - 데이터 보안 - OS 설치, 패치 -> 여러가지 관리 작업을 수행해야함. 다른 업무에 투입해야할 리소스를 소모하고 전문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AWS EFS가 뭔데 Amazon Elastic File System(Amazon EFS) : 여러 가상 머신이 동시에 액세스 할 수 있는 EC2 인스턴스용 스토리지 구현 이 스토리지는 NFS(Network File System)을 사용하는 공유 파일 시스템을 구현 기능 - AWS 클라우드에서 파일 스토리지를 간편하게 설정하고 조정할 수 있는 완전관리형 서비스 - 빅데이터 분석, 미디어 처리 워크플로, 콘텐츠 관리, 웹서비스나 홈디렉터리용 파일 시스템 구축 가능 -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EC2 인스턴스가 액세스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 구축 가능 - 스토리지를 프로비저닝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GB~PB의 규모로 데이터를 확장할 수 있음 - 여러 개의 EC2가 동시에 EFS 파일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 - EFS는 EC2..
[실습] AWS VPC 생성하기 언제나 그러하듯 AWS에 로그인 하고 VPC로 들어가기 콘솔(맨 처음 페이지)에서 찾아보면 있거나 검색하면 됨!! VPC 페이지에서 VPC로 들어가면 된다. 그럼 이렇게 기본적으로 생성된 VPC가 있음을 볼 수 있음 디폴트! 오른쪽 상단 주황색 [VPC 생성]으로 나만의(?) VPC를 생성해보자 VPC 설정에서 [VPC 등]으로 하고 이름 태그는 알아서 지정하면 된다. 요새는 미리보기가 생겨서 저렇게 VPC에 어떤 서브넷과 라우팅테이블이 연결되어있는지 볼 수 있다고...(편리) IPv4 CIDR 블록은 내가 쓸 IP를 지정하는거(디폴트 값이 있어서 정해지지 않았다면 그걸 써도됨) IPv6는 안쓸거니까 [블록 없음]이라고 함 가용 영역은 원하는 대로 설정하면 되는데 나는 2개로, 퍼블릭 서브넷이랑 프라이빗..
Amazon EBS? 웬 EBS? Amazon Elastic Block Store(Amazon EBS) : 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구 블록 스로티지 볼륨을 제공함 영구 스토리지(비휘발성 스토리지) : 해당 디바이스의 전원이 차단된 후 데이터를 보존하는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 EBS 볼륨은 자동으로 가용 영역 내에 복제됨 -> 장애가 발생해도 안전! - 고가용성, 내구성 제공 - 지연 시간이 짧고 일관된 성능을 제공 - 프로비저닝한 부분에 대해서만 저렴한 비용 지불 AWS 스토리지 옵션 : 블록 스토리지와 객체 스토리지 비교 Q. 1GB 파일에서 글자 하나를 변경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할까? (표 하나가 스토리지라고 보자... 일단 보자... 보라색 부분이 변경해야 하는 부분임) A. 블록 스토리지에서는 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