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167)
딥러닝 어떻게 하는거지(인공신경망) 1. 딥러닝과 머신러닝 차이, 그래서 딥러닝이 뭔데? 2. 로지스틱 회귀 복습 3. 인공신경망에 대해 알아보자 4. 심층 신경망 5. 신경망 모델 훈련 최대한 간단간단하게 하자 머신러닝이 뭐였더라? 머신러닝은 데이터를 구문 분석하고 해당 데이터를 통해 학습한 후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기 위해 학습한 내용을 적용하는 알고리즘 즉, 주어진 데이터로 기능을 수행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기능이 점차 향상되는것 그럼 딥러닝은? 딥러닝은 머신러닝의 하위 개념!!으로 인공신경망이라고도 한다 그럼 인공신경망은 뭘까? 우리 뇌에 있는 신경세포인 뉴런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것 인공신경망 뉴런은 뇌의 뉴런처럼 다른 여러개의 뉴런으로부터 입력값을 받아서 외부로 출력값을 내보내는 것이다 저번 시간에 봤던 걸 살펴보자..
Amazon S3 Glacier Amazon S3 Glacier : 데이터 아카이빙 및 장기 백업을 위한 안전하고 안정적이고 비용이 저렴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 원할 때 즉시 데이터 검색을 할 수 없음 ->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려면 몇 시간이 소요 그래서 아카이빙에 적합 아카이브 : S3 Glacier에 저장하는 사진, 동영상, 파일, 문서와 같은 객체(스토리지의 기본 단위) - 각 아카이브에는 고유한 ID가 있고 설명도 포함됨 볼트 : 아카이브를 저장하는 컨테이너 - 볼트 생성 시 볼트 이름과 리전을 지정 - 액세스 권한 정책은 볼트에 저장된 데이터에 액세스O 사용자와 액세스X 사용자와 수행O 작업과 수행X 작업을 결정 - 볼트 잠금 정책으로 볼트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음 - 각 볼트에는 하나의 볼트 액세스 정책과 하..
AWS EFS가 뭔데 Amazon Elastic File System(Amazon EFS) : 여러 가상 머신이 동시에 액세스 할 수 있는 EC2 인스턴스용 스토리지 구현 이 스토리지는 NFS(Network File System)을 사용하는 공유 파일 시스템을 구현 기능 - AWS 클라우드에서 파일 스토리지를 간편하게 설정하고 조정할 수 있는 완전관리형 서비스 - 빅데이터 분석, 미디어 처리 워크플로, 콘텐츠 관리, 웹서비스나 홈디렉터리용 파일 시스템 구축 가능 -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EC2 인스턴스가 액세스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 구축 가능 - 스토리지를 프로비저닝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GB~PB의 규모로 데이터를 확장할 수 있음 - 여러 개의 EC2가 동시에 EFS 파일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 - EFS는 EC2..
Amazon S3가 뭐였더라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Amazon S3) : 객체 수준 스토리지 파일 일부를 변경하려면 파일을 변경한 다음 변경된 파일 전체를 다시 업로드 해야한다 Amazon S3는 버킷이라고 하는 리소스 내 객체 단위로 저장한다 - 버킷에 원하는 만큼의 객체 저장 가능(객체 크기는 최대 5TB) - 버킷에서 객체를 쓰고, 읽고, 삭제가 가능 - 버킷에는 보편적이고 고유한 이름이 사용됨 - IAM을 사용해 버킷에 접근 가능한 사용자를 제어할 수 있음 - 객체 업로드나 삭제 등 특정 이벤트 알림 기능 설정 가능 객체: 이미지, 영상, 서버로그 등 거의 모든 데이터 파일이 될 수 있음 스토리지 클래스 Standard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 짧은 지연 시간 및 높은 처리량 제공 -> ex) ..
[실습] AWS VPC 생성하기 언제나 그러하듯 AWS에 로그인 하고 VPC로 들어가기 콘솔(맨 처음 페이지)에서 찾아보면 있거나 검색하면 됨!! VPC 페이지에서 VPC로 들어가면 된다. 그럼 이렇게 기본적으로 생성된 VPC가 있음을 볼 수 있음 디폴트! 오른쪽 상단 주황색 [VPC 생성]으로 나만의(?) VPC를 생성해보자 VPC 설정에서 [VPC 등]으로 하고 이름 태그는 알아서 지정하면 된다. 요새는 미리보기가 생겨서 저렇게 VPC에 어떤 서브넷과 라우팅테이블이 연결되어있는지 볼 수 있다고...(편리) IPv4 CIDR 블록은 내가 쓸 IP를 지정하는거(디폴트 값이 있어서 정해지지 않았다면 그걸 써도됨) IPv6는 안쓸거니까 [블록 없음]이라고 함 가용 영역은 원하는 대로 설정하면 되는데 나는 2개로, 퍼블릭 서브넷이랑 프라이빗..
Amazon EBS? 웬 EBS? Amazon Elastic Block Store(Amazon EBS) : 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구 블록 스로티지 볼륨을 제공함 영구 스토리지(비휘발성 스토리지) : 해당 디바이스의 전원이 차단된 후 데이터를 보존하는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 EBS 볼륨은 자동으로 가용 영역 내에 복제됨 -> 장애가 발생해도 안전! - 고가용성, 내구성 제공 - 지연 시간이 짧고 일관된 성능을 제공 - 프로비저닝한 부분에 대해서만 저렴한 비용 지불 AWS 스토리지 옵션 : 블록 스토리지와 객체 스토리지 비교 Q. 1GB 파일에서 글자 하나를 변경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할까? (표 하나가 스토리지라고 보자... 일단 보자... 보라색 부분이 변경해야 하는 부분임) A. 블록 스토리지에서는 해..
Amazon CloudFront란? 네트워크 통신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네트워크 성능이다 오리진 서버에는 사진이나 동영상 같은 밀도 높은 데이터의 원본 버전이 저장된다 고객과 원본 데이터 서버 간의 거리는 재생 성능 및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침 네트워크 지연시간은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짐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Amazon CloudFront - 빠른 전송 속도로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고속 콘텐츠 전송 서비스 - 엣지 로케이션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파일을 전송한다 - 요금은 사용하는 만큼 지불(종량 과금제) - Route 53의 지리 위치 라우팅 사용(고객이 요청하면 Route 53가 고객의 위치 확인 -> 고객의 가장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의 IP주소로 응답) - 데이터가 ..
Amazon Route 53는 뭐야? DNS(domain name system) 해석은 내부 이름을 해당하는 IP주소로 변환하는 프로세스(ex. 전화번호부) Amazon Route 53 도메인 이름(ex. engine.tistory.com)을 등록하고 서비스를 통해 해당 도메인과 관련된 이름 및 호스트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확장 가능한 고가용성 서비스 - IPv4, IPv6와 호환됨 지원 라우팅 단순 라우팅 표준 DNS 레코드 구성. 단일 리소스로 트래픽 라우팅 가중치 기반 라우팅 리소스 레코드 세트에 가중치 할당하여 빈도 지정(A/B 테스트 수행 시 사용O)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최대한 빠른 방법으로 응답을 수신해야 하는 경우(포화 상태 시 사용이 어려울지도...) 지리적 위치 라우팅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가장 가까운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