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AWS

(96)
VPC Peering 연결 오늘 할 실습 아키텍처 VPC Peering 연결을 생성해서 private ec2끼리 ping을 주고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자 준비사항 서울 리전에 각각 다른 VPC를 생성해 VPC Peering을 해볼 것이다. - VPC A : 10.0.0.0/16 - public subnet : 10.0.10.0/24 - private subnet : 10.0.11.0/24 - public 라우팅 테이블 - private 라우팅 테이블 - private subnet 내에 있는 ec2가 외부와 통신 해야하기 때문에 nat gateway를 생성해 연결했다 또다른 VPC를 준비하자 - VPC B : 10.50.0.0/16 - public subnet : 10.50.0.0/24 - private subnet : 10.50..
AWS CloudFront, S3, ALB, Route53 몽땅 연동하기 이렇게 연동할 것이다 그리고 CloudFront 앞단에 WAF를 위치시킬 예정이다 S3 버킷 다음과 같이 contents라는 폴더에 파일들을 집어넣었다 로드 밸런서 오토 스케일링 그룹으로 EC2 인스턴스 2개를 생성했다. 인스턴스는 각각 다른 AZ의 private 서브넷에 존재한다 그리고 ALB의 타겟 그룹에 다음과 같이 등록해둔 상태이다. 그리고, 로드 밸런서는 application load balancer를 생성해 리스너 규칙을 다음과 같이 생성했다 HTTP:80으로 들어온 모든 요청은 타겟그룹으로 전달되도록 했다 Route 53 기존에 사용하던 도메인을 Route 53의 호스팅 영역에 등록했다 처음 등록하면 네임서버가 자동으로 생성되는데 그 네임서버를 기존 호스팅 업체인 가비아에 등록했다. WAF ..
EC2 인스턴스가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을 때... AWS 콘솔에서 다음과 같이 인스턴스를 생성했지만 이상하게도 이런 화면이 나올 때가 있다.. 위의 EC2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퍼블릭 IPv4주소 할당'을 '비활성화' 했기 때문에, 탄력적 IP(EIP)를 할당 받아서 인스턴스와 연결했다. 그래서 할당 받은 퍼블릭 IP주소로 HTTP 접근을 했을 때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알아봐야 하는 게 몇 가지 있다. 일단 가장 우선적인 것은, 인스턴스와 VPC 연결이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후에 확인할 것들 리스트 1번 - 연결된 서브넷이 퍼블릭이 되어있는지 살펴본다 - 즉, 서브넷이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연결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야한다. 2번 - VPC와 연결된 보안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이 다음과 같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 인바운드 규칙에서 'HTTP', '..
AWS IoT Greengrass 구성요소로 기계학습 추론 수행하기 AWS IoT Greengrass 구성요소로 기계 학습 추론 수행하기 https://docs.aws.amazon.com/ko_kr/greengrass/v2/developerguide/perform-machine-learning-inference.html 기계 학습 추론 수행 - AWS IoT Greengrass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위에 관련된 내용이지만, 사실 좀 그지같이 쓰여있어서 이해하기 어렵다.. 그래서 공부하고 정리한 내용을 적어보아야지.. 기록기록 1. AWS IoT Greengrass에 접속해 Greengrass 디바..
AWS IoT Greengrass 구성요소, 레시피, 아티팩트 AWS IoT Greengrass는 디바이스에서 IoT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배포 및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오픈 소스 IoT(사물 인터넷) 에지 런타임 및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라고 한다. 어떻게 이야기하면, 엣지 컴퓨팅을 실현시켜주는 서비스라고 말할 수도 있을지도 모른다. 스마트 팩토리에 수많은 센서들이 있다고 하자. 그 센서들이 어떤 데이터를 모으면 그 데이터들을 처리해야 하는데, 이때 처리하는 것을 클라우드까지 데이터를 질질 끌고 가는게 아니라 로컬 즉, 센서와 가까운 곳에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센서값들을 분석하고 저장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클라우드까지 가지고 와서 그곳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에게 더 가까운 곳에서 일처리를 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면 처리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서비스에 ..
AWS Lambda로 S3 버킷에 있는 파일의 형식 바꾸기 드디어 했슴다 나는 불굴의 의지의 사나이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1. Amazon Transcribe를 AWS Lambda를 이용해 자동으로 실행하기 https://engine.tistory.com/125?category=1076479 [Project] AWS Transcribe를 이용해 자막 파일 만들기 프로젝트 소개 AWS Transcribe를 이용해 자막 파일을 만들기 - 유튜브 오디오 추출 사이트에서 오디오 파일을 만들고, S3에 업로드 - S3에 있는 파일을 람다 함수를 이용해 Transcribe를 자동으로 돌려서 engine.tistory.com 2. Amazon Translate 배치 번역 실행 방법 https://engine.tistory.com/140?category=10..
AWS Solutions Architect module15 Capstone Project 안녕 외국인 및 내국인 여러분 제가 몇날며칠 삽질한 결과를 여러분께 알려드리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B_yGykiE2Y&t=1632s 이 인도아조씨 영상을 보면서 모듈15를 진행하다보면 로드밸런서 만들고 DNS로 연결까지는 됩니다만, DB 쿼리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뭘 해야하느냐 Solution for people who stuck on 504 Gateway time out in the last query step or only got 2/3 points Step 1: Go to Autoscaling group -> Network -> replace both private subnets to public subnets Step 2: Go to EC2..
[프로젝트] json 형식을 txt로 변환해서 translate 실행 지금까지 한 거 transcribe - 버킷에 영상을 올리면 람다 함수로 transcribe를 자동으로 실행해 텍스트로 변환해서 버킷에 결과를 넣어줌 translate - 되는 거 확인 오늘 한 거 transcribe가 완료가 된 json 형식의 파일에서 transcripts 부분(문장 부분만)만 추출해서 txt 파일에 저장해서 translate 돌리기 앞으로 할 거 (?) 람다로 s3 버킷에 접근해 파일을 읽어서 json -> txt로 변환 되는지 확인. 그리고 람다로 변환된 파일을 s3 버킷에 올릴 수 있는 지를 확인 translate를 자동으로 하는 건 어려울 듯 환경은 vs code 파이썬 버전은 3.9.6 코드는 json 형식의 파일에서 원하는 부분만 추출해서 txt 파일에 저장하는 것 from..

728x90